트렌드 코리아 2023
2023년 토끼해를 맞는 주제는 rabbit jump
각 영문에 따른 10개의 2023년 테마
[R]edistribution of the Average : 평균 실종
흔히 대표집단을 설명할 때 '평균'을 사용 한다.
평균이란 모집단이 정규 분포를 이룰 때 의미가 생긴다. 다수가 포진한 부분을 평균이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그러나 요새 정규 분포성이 뚜렷하지 않다.
빈익빈부익부 같은 현상으로 중간이 없고 양극화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사태로 양극화가 더 심해졌다.
- 단극화 쏠림 현상
한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우울할 때 소비로 기분 해소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문에 작은 사치품들이 많이 팔린다.
또 고가의 명품, 사치품 소비가 이어지며 경재 불황에도 꾸준한 판매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욕망은 그대로인데 예산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사치품을 구매하고 다른 부분에서 초 절약하는 극적인 라이프 스타일이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사치품과 아주 저렴한 상품 이 두 가지의 구매율이 높아지는 단극화 현상이 일어난다.
또 다른 사례로 사람들이 줄 서는 맛집의 경우 배달 플랫폼의 발달로 배달 수요까지 충족하게 되면서 더욱 발전 하게 된다. 이와 반대의 식당일 경우 사람들의 수요가 더욱더 줄어들게 된다.
- N극화 다극화
사람들의 취향이 다양해지고 있다.
정형화된 컨텐츠 패턴이 아닌 다양한 주인공들이 활약한다.
또한 평균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매스시장이 아닌 개개인을 타겟으로한 세분화된 시장이 활성화 되고 있다.
양극화 다극화 단극화 현상으로 평균이 집단을 대표하지 못하게 된다.
마케팅 방법: 뾰쪽하게 타겟팅을 한다. 두루뭉술하게 평균적인 사람들이 좋아할 것 같은 시장이 아닌
제품을 필요로 하는 타겟을 뽀족하게 정해야 한다. 어정쩡한 평균 실력으로는 시장을 장악할 수 없다.
[A]rrival of a New Office Culture: ‘Office Big Bang’ 오피스 빅뱅
회사 문화가 급진적으로 바뀌고 있다.
직장내 세대차이와 이직률이 증가하고 있다.
사내 세대차이를 그 사람이 자라온 환경, 처한 상황을 이해해야 간격을 좁힐 수 있다.
MZ는 '나'와 회사를 동일시 하지 않는다.
'나' 의 시간과 노동을 제공하고 돈을 받는 정도 물물교환 정도의 직장관을 가지고 있다.
근무시간 이외는 오로지 나의 시간이다. 내 영혼까지 회사에 묻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기성세대는 나와 회사, 나라에 대한 동일시가 강하다.
이유1. 평균 연령이 늘어남
생애주기가 길어지면서 회사를 다니는 기간과 인생 전체의 시간이 상의하다. 생애주기가 늘어 나면서 회사는 내 인생의 한 부분 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정년퇴직을 한들 남은 내 인생을 회사가 책임져 줄수 없다는 주의다.
예전 기성세대는 평균연령이 60정도였다. 대다수 인생을 회사에서 보낼 수 있다. 회사의 발전은 내 인생의 발전이라고 여길수 있는 생애주기를 가졌다.
이유2. 나의 성장이 중요시 됨.
직장과 나는 별개의 개념으로 조직은 성장의 터전이 되어야 한다.
MZ는 이곳에서 얼마나 내가 성장 할 수있는가가 중요하다. 이로써 회사는 성장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미국의 룰루레몬 회사는 직원의 성장을 위해 투자하는 것이 진심이다. 직원이 성장하고 성공하여 회사의 홍보 직원이 될 수있도록 코칭하여 상생한다. 회사는 사람이 성장할 수있는 터전이 되어주어야 한다.
[B]orn Picky, Cherry-sumers 체리슈머
경제사정이 어려웠던 사회에서 자란 기성세대의 미덕은 욕망을 줄이는 것이였다.
이와 반대로 경제 성장 속 풍요로운 사회에서 자라온 (MZ)민지는 합리적인 욕망 충족을 중시 한다.
민지들은 한정된 예산을 전략적으로 소비한다.
방법
1. 조각 전략
소비주체가 개인화 되고있다. 작고 유연한 소비의 증가가 원인이다. 개인화 되면서 더 작은 패키징, 1인용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500mm 보다 더 작은 생수 출시등. 개인 소비자가 유연한 선택을 할 수있도록 한다.
2. 반반 적략 N/1
나눠서 소비한다.예전의 공동구매 형태가 발전된 모습이다. 플랫폼의 발달로 쉽게 가능해졌다.
예를 들면 배달비를 나누기 위해 같은 빌라에 사는 사람들과 같이 음식을 주문 할 수있다. 친한 사람들은 아니지만 단톡방 커뮤니티에서 모집 할 수있다.
3. 말랑계약
긴 소비 패턴을 보이는 것이 아닌 필요 상황에 잠시 구매하는 행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넷플릭스 OTT서비스를 한달만 구독하고 이 안에 원하는 콘텐츠를 몰아보고 해지하는 경우이다.
구독 해지가 유연화 되어 일시적 계약해지 '쉬어가기' 가 기능을 넣은 구독 플랫폼 사례를 꼽을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타 경쟁사와 비교해 우위를 점하려면 사용자가 부담을 갖지않고 언제든 해지할수 있다는 인상을 주도록 만들어 졌을것이다.
[B]uddies with a Purpose 'Index Relationships' 인덱스 관계
관계의 중요도에 따라 색인(index)화 하여 전략적으로 관리 한다.
필요한 상황에 따라 알맞은 친구를 선택하면서 관계가 기능화 되었다.
민지들은 다양한 매체를 통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였고 관계가 복잡해 졌다. 상황에 따른 필요 친구를 인덱스에 따라 나누듯 전략적으로 관리한다.
과거에는 관계의 밀도가 중요 했다면 요새는 관계가 다양해지는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I]rresistible! The ‘New Demand Strategy’ : 뉴디맨드 전략
Cherry-Sumer 와 쌍을 이루는 키워드
어떻게 하면 소비를 촉진 시킬 수 있을까?
새로운 수요를 만들어 내는것이 뉴디맨드 전략 이다.
[뉴디맨드 전략 체크리스트 ]
교체수요
ㅁ. 업그레이드
ㅁ. 컨셉 입히기
ㅁ. 지불방식 바꾸기
신규수요
ㅁ. 전에 없건 상품
ㅁ. 새로운 카테고리
ㅁ. 마이크로 세그먼테이션
교체 전략과 신규 전략 USP(Uique selling Proposition) 자사 신제품 특 장점 홍보
연구 개발을 잘해야 하는 것도 있지만 고객 조사도 잘해야 한다.
기능을 업그레이드 할 수없으면 디자인을 바꾸면 된다. 관점을 다르게 하여 컨셉을 입히는 것도 좋다.
사례 1)지불 방식 바꾸기
일시불로 지불하기에 부담 되지 않도록 할부, 랜탈, 리스 정책을 만든다. 요즘엔 00페이 사용을많이 한다. BNPL - Buy Now, Pay Later
사례 2) D2P (Dispose to Purchase)보상구매
교체주기가 긴 제품은 이전에 사용하던 제품을 처리하기가 어려운데, 보상구매를 통해서 해결 할 수있다.
신규 수요를 만들어라 뉴 카테고리를 만들어 내라
사례) 김치 냉장고
Micro Segmention
한사람 한 사람에게 집중해 타겟을 좁고 명확히 하라
사례) 시각장애인용 시계 시장
평균실종의 시대에서는 소비자들이 다양화 되어 있기 때문에 호감이나 인지도를 높이기 보다 구매 전환율에 주목해야 한다.
소비자가 "이건 딱 나를 위한 제품이야" 라는 생각이 들면 소비 한다. → 좁고 세밀한 세그멘테이션이 필요하다.
[T]horough Enjoyment: ‘Digging Momentum’ : 디깅모멘텀
한 영역을 깊게 파면서 일, 생활, 인간관계를 영위
컨셉을 생각하고 그 상황에 빠진다 웹 소설 세계관에 빠지거나 마블 세계관에 열광한다.
이는 콘텐츠 소비 시간이 늘어나는것과 비례한다.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있는 환경에서는 세계관에 더 깊게 몰입할 수 있다.
[J]umbly Alpha Generation : 알파세대가 온다
알파세대는 2013년에 태어난 세대로 스마트폰이 활성화된 세계에 태어난 이들이다.
알파세대의 정체성은 모두가 존중받는 셀러브리티 라고 여긴다.
구독자수 중심으로 알고리즘을 띄어주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과는 다르게 구독자 없이도 나를 알릴 수있는 알고리즘의 틱톡을 선호한다. 이들에게 우려되는 상황은 스마트폰 중독과 장기화된 코로나로 생애의 절반 이상이 마스크를 써야하는 환경에 놓여졌다는 것이다. 마스크를 쓰는 습관은 비 언어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줄 수있다.
[U]nveiling Proactive Technology : 선제적 대응기술
사용자의 요청 없이 디바이스가 먼저 상황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맥락을 읽어서 알맞은 대응을 해주는 것이다.
사례로 터널 입구에서 자동적으로 창문을 닫아주는 자동차가 있다. 한 사람이 겪는 다양한 맥락을 구분 할 수있다는 점이 기술의 특이점이다.
[M]agic of Real Spaces : 공간력
'지루한 공간이 죽는다'
공간은 어떤 힘을 가져야 하는가? 사람들이 찾아 오고 싶도록 매력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공간력의 핵심은 충분한 고객경험에 있다. 유일무이한 경험을 선사하라
점차 온라인 은 가난한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이 될 것이고 오프라인은 부자들이 모이는 공간이 될 것이다.
프리미엄한 경험, 구매 경험을 선호하는 자는 오프라인을 방문 한다. 경험을 사는 것이다.
고객의 경험에 집중하라
[P]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 : 네버랜드 신드롬
사회 전체의 취향이 젊어지고 있다. 평균연령이 길어지고 건강해졌다.
고령화 사회가 되어 가고 있지만 젊은 느낌을 좋아한다. 젊게 살고 싶어 하고 어려보이는 것을 선호한다.
* 자기지각연령: 실제 나이보다 스스로를 젊게 인식하는 것
출처: 클래스101 김난도 교수님 강의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