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 #마케팅 #유통 #사업전략
- 출처: https://brunch.co.kr/@trendlite/279
07화 왜 모두들 수직적 통합에 목을 매는 건가요?
이커머스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핵심 질문⑦ | [이커머스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핵심 질문 10가지] 시리즈는 매주 트렌드라이트에서 하나씩 공개됩니다. 구독하시고 놓치지 마세
brunch.co.kr
이커머스에는 수평적 확장과 수직적 확장, 성장의 2가지 방식이 있다.
↑ 수직시장(버티컬 커머스)
특정한 카테고리나, 상품군, 연령대 등에 집중한 전문몰 형태의 사업
하나의 가치 사슬이 진행되는 연속 선상에 있는 것.
ex) 원단부자재>공장의류>유통>판매 제조부터 유통까지 모두 포괄하는 spa 브랜드로 리뉴얼 할 경우 수직적 확장, 수직적 통합 이라 칭함.
● 단점: 단기적으로 카테고리에 특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 하여 버티컬 카테고리 내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네이버, 쿠팡 같은 종합 플랫폼을 이길 수 없다.
● 장점: 수익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 지향점: 1. 버티컬 시장 내에서 지배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2. 성장 둔화의 장애물을 넘어야 한다._ 특정 버티컬 영역에서 만들 수 있는 거래액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선 사업을 무조건 확장 해야 한다.
● 성장 방법 : 가치 가슬을 통합 시키면서,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공고하게 만들고 수직적 시장 확장으로 거래핵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매출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수직정 방법은 전문성을 가진 버티컬 플랫폼들에게 유리하다.
●사례
- '오늘의 집' : 인테리어 살품을 사는 모든 가치사슬을 장악하고자 함. 새 가구와 소품을 사기 전에 아예 인테리어 시공을 하거나 이사를 하는 시점부터 고객을 끌어 들인다.
- '무신사': 고객 구매 여정을 따라가는 대신, 아예 입점 업체의 생애에 집중한다. 국내 패션 브랜드 육성을 위한 VC, 공유 오피스를 만들어 시장내 지배력을 강화 함.
- '컬리' : 제조-유통 가치 사슬로 확장하며, 농산품 스타트업 분야에 투자 하는등 농업에 베팅함.
→ 수평시장(종합 커머스)
수평시장(종합 커머스): 수평적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얿히는 것. ex)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하위시장
●단점: 유관 산업으로 영역을 넓히는 것은 이미 레드 오션
● 장점: 이전 사업과 비슷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성장 가능 원스톱 쇼핑으로 편의성 증대(합 배송가능 포인트등 혜택을 효과적으로 활용) 카테고리가 다양해질수록 리텐션이 좋아지고, 플랫폼의 영향력은 커지게 됨. 이것이 수평적 확장 경쟁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적 요소가 된다.
결국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수직적 통합으로 나아간다.
네이버, 쿠팡과 같은 종합 플랫폼들도 이러한 수직적 통합에 힘을 쏟고 있다. 특정 카테고리 영역 내 측성을 살린 접근보다는 유통업 자체의 가치사슬을 건드리는 형태로. 흔한 사례로 제조로 영역을 확장하여 PB브랜드를 만드는 것이다.
● 수직적 통합에 치중하는 이유: 수익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직적 시장은 가치 사슬을 따라 만들어 지고, 하나의 단계를 넘어갈 때마다 상품의 가치는 올라간다. 부가가치가 생길 때 마다 마진이 붙게 되는데 이러한 가치사슬을 통합하면, 모든 부가가치를 독점 할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이커머스의 모든 플랫폼이 고민하는 손익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수직적 통합은 절박함의 차이는 다소있겠지만, 시장 내 모든 플레이어가 추구하는 지향점이다.
오프라인 확장
- 유행처럼 이커머스 기업들이 오프라인 고객 접점을 마련하거나, 이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까지 삼든 경우도 많다
[🌰인사이트]
- 기 : 이커머스에서 수평이커머스와 수직이커머스의 차이
- 승 : 종합 플랫폼 특성상 시장의 1,2위가 커머스 시장을 독점하게 됨. 당연한 이치
- 전 : 이커머스의 끝판왕 네이버, 쿠팡에게 태생적으로 대적하기 힘듬. 이로써 버티컬커머스의 전문성을 축척하여 유능하게 대응하고 수직 통합으로 마진을 남겨 수익성을 극대화 할 것
- 결: 수익 극대화를 위해서 규모가 커진 플랫폼은 수직적 성장을 꽤하는 것이 당연한 수순
[🥜 추가조사]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nfQJR346xH1PnGJPTf6ftIhpb8zV72w=
2023 이커머스 트렌드 : Under Control
성장보다는 생존이 중요한 시대, 통제를 잘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stibee.com
https://brunch.co.kr/@trendlite/274
04화 왜 갈수록 시장 세분화가 중요해지는 건가요?
이커머스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핵심 질문 ④ | [이커머스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핵심 질문 10가지] 시리즈는 매주 트렌드라이트에서 하나씩 공개됩니다. 구독하시고 놓치지 마세
brunch.co.kr
[🌞 생각 정리]
▶ 사용자가 익숙해진 규모가 큰 플랫폼은 어떤 사업 영역을 해도 성공할 확율이 높다. = 사람이 모이는 곳이 돈을 만든다.
▶ 신생 업체는 종합 플랫폼이 가지지 못한 전문성을 세분화 하여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 할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함.
(생소하거나 멘탈모델을 해치면 안됨. 유저의 취향을 반영한 극 개인화 방향으로 컨셉 설정)
▶ 서비스의 성격을 고려하여 해당 서비스가 타사와 구별되는 강점이 토대가 되어 성장 할 수 있도록 수직통합시 사업 방향성에 맞는 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함.
▶ 수직적 통합을 설정할때 이를 다 컨트롤 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인재가 있으면 좋겠음→ 내가되고싶어요
'탐색 > IT 서비스 오늘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대 플렛폼의 노출 알고리즘과 규제 (0) | 2022.12.23 |
---|---|
Google 쇼핑 서비스 개선 기능 (3D이미지, 쇼핑 모양, 구매 가이드 제안) (0) | 2022.11.24 |
네이버·카카오, ‘오픈채팅’ 맞붙는다 (0) | 2022.11.22 |